본문 바로가기

기독교 들여다보기

기독교 역사 간단요약 - 하편

기독교 역사 상편을 간단히 요약해보자.

예수의 탄생, 죽음, 부활 → 제자들의 복음전파 초대교회 설립과 핍박 로마의 기독교 공인 니케아 공의회 동서 대분열

 

3. 중세시대 종교개혁

서방의 카톨릭 교회는 시간이 흐르면서 썩어 빠진 상태가 되었다. 카톨릭 성직자들은 부정부패를 일삼았고, 교황청은 정치자금 마련을 위해 면죄부를 판매하였다. 가장 선해야 할 종교지도자들이 악을 행한 것이다. 사회적으로 '카톨릭을 개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면죄부를 판매하는 성직자들의 모습

 

종교개혁 하면 가장 유명한 인물은 바로 '마틴 루터' 일 것이다. 카톨릭의 신부였던 그는 카톨릭의 문제를 비판하는 '95개조 반박문'을 작성함으로써 종교개혁 운동을 촉발시켰다.

프랑스에서는 '존 칼빈'이라는 신학자가 종교개혁을 일으켜 칼빈주의 신학을 세웠다. 이러한 칼빈주의 신학이 현재 한국기독교의 주류를 이루는 '장로교'의 모태가 되었다.

잉글랜드 국왕 헨리 8세는 잉글랜드 교회를 로마 카톨릭과 단절시키고 '성공회'를 세운다.

 

종교개혁 운동으로 인해 카톨릭 교회는 '개혁 지지파'와 '개혁 반대파'로 나뉘게 된다. 개혁을 지지하는 세력은 교황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았고, 두 세력의 격렬한 갈등으로 인해 2차례의 전쟁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카톨릭의 정치 세력은 크게 쇠퇴하게 되었으며, '개혁 지지파'는 개신교라는 이름으로 유럽 각지에 교회를 세우며 여러 개의 교단, 교파로 나눠지게 된다.

 

4. 근현대 기독교

서방 카톨릭 교회의 역사를 살펴보았는데, 동방 정교회의 경우 큰 분열 없이 동유럽과 그리스, 러시아 등지에서 계속해서 믿음을 이어갔다. 특히 러시아 제국의 팽창으로 인해 러시아 정교회는 큰 세력을 갖추게 된다.

 

역사적으로는 16세기 초, 배를 통해 무역이 이뤄지는 '대항해시대'가 되었다. 이러한 대항해시대의 무역과 식민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기독교는 이제 유럽을 벗어나 아메리카 대륙, 호주, 남아프리카 동남아시아 같은 세계 각지로 전파되기 시작했다.

 

기독교를 중심으로 하는 국가는 마치 신이 축복한 듯 강력한 국력을 자랑했다. 대혁명 이후 프랑스가 그러했고, 해가 지지않는 나라 대영제국이 그러했다. 이후 기독교의 중심국가는 미국으로 넘어온다. 미국은 기독교 정신으로 세워진 국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까지도 미국의 대통령은 성경에 손을 얹고 취임 선서를 하며, 많은 미국인들이 문화적·배경적으로 기독교 신자이다.

 

19세기에는 미국의 개신교를 중심으로 부흥운동이 일어났다. 이러한 부흥운동의 시기에 한국을 비록한 세계 각국에 선교사를 파견하여 기독교를 전파하게 된다. (한국의 기독교 전파에 대해서는 다음에 자세히 다루도록 하자.)

 

 

나라별 기독교인 비율을 나타낸 지도

 

이렇게 기독교는 2천년의 세월동안 전 세계에 전파되었고, 현재 세계에게 가장 많은 사람이 믿는 '최대 종교'가 되었다. 제자들과 순교자들의 희생위에 세워진 기독교, 그러나 분열과 전쟁으로 얼룩진 기독교... 과연 하나님은 오늘날의 기독교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 것인가?
(끝)

 "구독과 좋아요는 칼럼 발행에 큰 힘이 됩니다"